엔캐리 트레이드 청산과 주식시장 폭락에 대하여
목차
앤캐리 트레이드와 관련된 기사가 쏟아지고 있는 지금, 여러분의 주식은 안녕하신가요? 최근 주식시장 변동폭이 굉장히 컸는데 그 이유 중에 하나인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과 관련하여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과 주식시장 폭락의 관계
엔 캐리 트레이드의 청산이 주요 아시아 국가들의 주식시장 폭락 원인으로 지적되었습니다. 엔화의 강세가 진정될지 여부가 주식시장 변동성의 결정적인 요인이 될 것이라는 해석이 있습니다. 엔화 약세가 오랜 기간 지속된 만큼, 주식시장 안정화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있습니다.
국내 및 아시아 주요 지수 하락
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KOSPI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8.77% 하락한 2441.55에 마감했습니다. KOSDAQ 지수도 11.30% 하락한 691.28을 기록했습니다. 국내 주식시장뿐만 아니라 일본의 니케이 225 지수(-12.40%)와 대만 증권거래소 지수(-8.35%) 등 아시아 전반의 지수들도 하락세를 피하지 못했습니다.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 원인 분석
한국거래소는 이날 주식시장 폭락의 원인으로 엔 캐리 트레이드의 청산을 지목했습니다. 엔 캐리 트레이드란, 낮은 비용(이자율)으로 엔화를 차입하여 다른 국가의 고가치 상품에 투자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엔-달러 환율은 2012년 1달러당 77엔에서 지난달 160엔을 넘어서는 등 극단적인 약세를 이어갔습니다. 이 과정에서 엔화는 글로벌 시장 곳곳으로 흘러갔습니다.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에 대한 시장의 관심
시장은 엔 캐리 트레이드의 청산 여부에 주목해 왔습니다. 그러나 미국 기준금리 인하 속도가 예상보다 더뎌지면서, 일본은행의 통화정책 정상화가 기존 시장 흐름을 더욱 강화시켰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미국 기술주의 급등과 일본 주식시장의 전반적인 강세가 있었습니다.
미국 대선 및 강달러 문제
한편, 지난달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11월 미국 대통령 선거 출마를 포기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에 따라 공화당 후보 도널드 트럼프가 주목받기 시작했고, 그는 강달러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트럼프 후보는 전 대통령 재임 시기에도 강달러와 무역 불균형에 대해 공개적으로 불만을 표한 바 있습니다.
미 경제 침체 우려와 엔화 강세
시장에서는 약달러에서 강엔으로 전환될 가능성에 주목하며 미국 경제 침체 우려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지난달 31일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이후, 연방기금 금리 선물시장은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9월에 기준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을 100% 반영했습니다. 이에 앞서 일본은행(BOJ)은 4개월 만에 정책금리를 0-0.1%에서 0.25%로 인상했습니다.
엔화 강세와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 가속화
즉, '트럼프의 강달러 문제 제기 → 경제 침체 우려 → 미국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 + 일본 정책금리 인상'이 순차적으로 맞물리며 엔화 강세가 점차 가속화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엔 캐리 트레이드 자금의 급격한 청산도 역할을 했습니다.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폭탄 맞지 말고 미리 계산해보세요 (0) | 2024.12.07 |
---|---|
ISA계좌 제도변경 및 금투세 폐지? 금융정책 요약! (6) | 2024.06.02 |
부동산투자 가이드: 입문자들을 위한 기초상식 (9) | 2023.08.27 |
주린이를 위한 ETF 투자의 모든것 (7) | 2023.05.31 |
리츠투자의 모든 것 : 초보자 입문 가이드 (9) | 2023.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