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팁러 햄버거 메뉴
반응형

 프로그래밍 언어에는 기본적인 자료형으로 참과 거짓을 나타내는 값이 있습니다.

이것을 불(boolean)이라 합니다. 이것에 대해 알아보죠.

 

1. 비교 연산자로 불 만들기

연산자 ==  : 같다

연산자 !=   : 다르다

연산자 <    : 작다

연산자 >    : 크다

연산자 <=  : 작거나 같다

연산자 >=  : 크거나 같다

그냥 수학기호랑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면

당연한 결과죠. 아직까진 쉽네요

또 신기한 점은 숫자만 불이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문자도 적용된다는 것입니다.

한글은 사전 순서(가나다)순으로 앞에 있는것이 작은 값이며 영어도 마찬가지입니다.

 

2. 논리 연산자

연산자 not : 아니다란 뜻으로 불을 반대로 전환합니다.

연산자 and : 그리고란 뜻으로 피연산자 2개가 모두 참일 때 True, 그 외는 False

연산자 or   : 또는이란 뜻으로 둘 중 하나만 참이면 참, 모두 거짓일 때만 False 입니다.

예를 들면

조금 헷갈리죠

두번째에서 not X<20 은 X=10 이니까 False

X<5 이것도 False 이니까 최종적으론 False 가 출력된 것이죠.

 

3. if 조건문 활용하기

파이썬에서 if조건문은 조건에 따라 코드를 실행 또는 실행하지 않게 하는 조건문입니다.

기본적인 형식은

if 불 값이 나오는 표현식:      (→  꼭 콜론:을 붙여줘야 합니다.)

□□□□불 값이 참일 때 실행할 문장  (if문 다음 문장은 4칸들여쓰기 후 입력합니다.)

예시 들어갑니다.

사진에서 처럼 내가 input에숫자를 넣으면 그 값에따라 참에 해당되는 값을 출력합니다.

   

반응형
댓글
위쪽 화살표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하트)과 댓글을 부탁드려요.
로딩바